내년 11월이면 6천7백여 가구가 입주할 아파트 건설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시멘트 공급이 원활할 때는 3분에 1대꼴로 레미콘 차량이 도착했지만, 지금은 30분에 1대씩으로 간격이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레미콘 업체에서 약속한 물량을 맞추기 어렵다고 갑자기 통보하는 일도 잦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주일 / 시공사 건축부장 : 시멘트 수량이 매일매일 변동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여파에 따라서 저희하고 약속된 물량을 지키지 못해서 저희 계획도 실행하지 못하는 그런 상황들이 간혹 발생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제 뒤로 건물 뼈대를 만드는 작업이 한창 진행 중입니다. 시멘트가 필수 요소인데 공급 부족으로 공사가 늦어지면 준공 시점도 미뤄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건설업계는 사정이 더 나빠질 것이라면서 실태 파악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한상준 / 대한건설협회 기술안전실 부장 : 시기는 4월 중순부터 시작할 것으로 저희는 예상하고 있습니다. 왜냐하면 그때쯤 돼야지 공사 중단하는 현장이 많이 나올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정상화 관건은 시멘트 제조 원가의 30~40%를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인데 업계에선 정부가 내놓은 수입 경로 다양화 방안에 회의적인 반응입니다. <br /> <br />이미 국제 유연탄 가격이 지난해 3월보다 3배 정도 오른 만큼 어느 나라에서 수입해도 달라질 게 없다며 규제 완화를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한찬수 / 한국시멘트협회 홍보협력팀장 :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량을 한시적으로 추가 조정해주셔서 시멘트 생산량을 증대하는데 도움을 주실 필요가 있고, 질소산화물 배출 부과금 제도의 한시적 유예 등을 통해서 제약 요소를 해소해 주셨으면….] <br /> <br />지난해 요소수 부족 문제가 불거졌을 때도 정부는 초기 진화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사태가 '제2의 요소수 사태'로 기록될지, 성공한 대처 사례로 남을지 정부 대응이 시험대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기성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40509502299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